VMware 가상머신을 설치하고 APM 패키지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시작했습니다.
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서버가 열립니다.
웹 브라우저를 열고 URL을 입력해주면 되는데, 먼저 URL이 무엇인지, 그리고 그 구성 요소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https://192.157.23.187:80/sol <-[자료를 요청할 파일 경로] 이렇게 구성됩니다
위의 URL은 자료를 요청할 파일 경로를 나타냅니다. 이 파일 경로는 서버가 어디에서 실행되느냐에 따라 옮길 수 있는 파일과 옮길 수 없는 파일이 결정됩니다. 이는 뒤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.
서버를 실행한 경로가 기준이 됩니다. 이 경로에서 불러오고 싶은 파일을 전송하면 됩니다.
"ls" 명령어를 이용해 현재 서버를 연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내가 text.txt 파일을 서버로부터 받고 싶다면
웹 브라우저에서 192.157.23.178/text.txt를 URL 주소창에 입력하면 text.txt 파일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이쯤 되면 한 가지 의문이 생길 수 있습니다. 위에서 언급한 ":80" 포트 부분은 어디로 갔을까요?
"80" 포트는 *사회적 약속*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이것은 웹에서 정해진 규칙입니다. 우리가 HTTP를 입력하고 파일을 요청했기 때문에 컴퓨터는 자동으로 포트 번호를 80으로 받아들이고 text.txt 파일을 출력해준 것입니다.
이를 *웰노운 포트*라고 합니다.
여기서 또 다른 의문이 생길 수 있습니다.
그러면 80번 포트만 사용할 수 있는 걸까요?
아닙니다! 임의의 포트 번호를 입력해서 서버를 열어도 됩니다.
하지만 약속된 포트 번호(80)가 아니므로 반드시 포트 번호를 기입해줘야 합니다.
예를 들어, :4567/test.txt처럼 말이죠.
👋이해돕기
추가적으로 한 가지 더 설명하고 싶습니다.
http://youtube.com에 접속했을 때 "내가 요청하지도 않은 HTML 파일이 바로 보여지네? 이건 뭐지?"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 이것 역시 사회적 약속입니다.
포트 뒤에 아무것도 없을 때는 index 파일을 보여주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.
👋이해돕기
"touch index.html" 명령어를 통해 HTML 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.
만들어진 index.html 파일에 "nano index.html"을 입력하고 내용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그런 다음 index.html 파일이 있는 경로에서 서버를 열어주고,
브라우저의 URL 창에 서버 주소만 입력하면 추가한 내용을 그대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.
만약 내가 불러오고 싶은 파일이 현재 경로보다 상위 디렉토리에 있다면,
그 파일은 불러올 수 없다고 앞서 언급한 바 있을겁니다. 이해돕기를 통해 이 말이 대체 무슨뜻인지 간단하게 알아보죠
👋 이해돕기
/home/student/WebBasic/sol에서 파일을 열면 경로는 sol에서부터 시작합니다.
내가 WebBasic에 있는 text.txt 파일을 불러오고 싶지만, 불러오지 못합니다.
이는 WebBasic이 text.txt의 상위 디렉토리이기 때문입니다
식별 / 인증 (0) | 2024.11.01 |
---|---|
WAS <-> DB 연결 (0) | 2024.10.26 |
Database (3) | 2024.10.26 |
웹 개발 기초 공부 3 (1) | 2024.10.18 |
웹 개발 기초 공부 2 (1) | 2024.10.17 |